추억의 스케치북

 

[김대열] 20150117

486f030438b6092a0fef05e50cb1bf80_1493282230_7263.jpg 

2015년1월17일 토요일 복음묵상

 

“저 사람은 어째서 세리와 죄인들과 함께 음식을 먹는 것이오?”

 

죄는 두 가지 관점에서 보아야 합니다.

하나는 세상이 말하는 죄와 그에 대한 우리의 태도이고, 또 하나는 하느님께서 말씀하시는 죄와 그에 대한 우리의 태도입니다.

 

세상으로부터 죄인이라고 일컬어지는 사람들과 함께 식사를 하시는 예수님을 보고, 율법학자들이 예수님과 동석한 이들을 단죄를 하려고 합니다. 그 율법학자들이란 예수님으로부터 회를 칠한 무덤 같은 이들이라는 말을 들었던 대상들 중 하나입니다.

 

물론 어느 사회이든 다양한 법과 규례를 정하고 강제성이나 구속력을 발휘하여 그 구성원들을 통제하려고 합니다. 이러한 사회적 장치는 반드시 필요합니다. 하지만 하느님의 법과 세상의 법이 부딪힐 때 그리스도인은 분명 하느님의 법을 따라야 합니다. 물론 하느님의 법이 무엇인지를 식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렇다면 하느님의 법은 무엇일까요? 교회가 말하는 하느님의 법이란 무엇을 두고 하는 말일까요?

교회에는 두 종류의 법이 있습니다.

하나는 하느님께서 정하신 법이라고 신앙공동체가 믿고 있는 자연법(自然法) 혹은 신정법(神定法)이라는 법입니다. 자연법의 내용은 간단명료합니다. ‘하느님을 사랑하고 이웃을 자신처럼 사랑하라’(마태오22,34-40/ 마르코12,28-34 / 루카 10,25-28)입니다.

또 하나는 교회가 오랜 역사를 통해서, 자연법을 근거로 해서 만들어낸 인정법(人定法)이라는 법입니다. 말 그대로 교회가 만든 법이며, 무수한 조항들을 가지고 있습니다.

 

“하느님을 사랑하고 이웃을 사랑하라.” 더 이상 큰 법은 없습니다.

우리는 어떤 상황에 어떤 사건들을 만나더라도, 선과 악, 그리고 죄에 대한 식별 기준으로 이 말씀을 선택해야 합니다. 어떤 판단이든 그것이 하느님을 사랑하고 이웃을 사랑하라는 하느님의 법에 합당한 것인가를 신중히 살펴보고 행동으로 옮겨야 한다는 말입니다. 결코 속은 썩어가는데 겉만 번지르르한 위선 덩어리가 되지 않도록 노력해야만 합니다.

 

보통 우리는 남의 죄에 대해서는 관대하지를 못합니다. 하지만 자신의 죄에 대해서는 관대한 모습을 보이고 맙니다. 이것 역시 또 다른 우리의 나약함이겠지요.

우리는 양심(良心)이라는 말을 잘 사용합니다. 잊지 말아야 합니다. 말 그대로, 양심이란 ‘좋은 마음’을 말합니다. 어느 누구든 하느님께 생명을 부여 받을 때, 그분께서 심어놓으신 좋은 마음을 뜻합니다. 그 양심의 법을 따르는 것, 즉 하느님을 사랑하고 이웃을 자신처럼 사랑하는 것이 아름답다는 것을 아는 법이 모든 법에 우선해야 한다는 것을 기억해야 합니다.

 

하느님을 사랑하고 이웃을 사랑하라는 법은 한 마디로 살리는 법입니다. 죄인을 죽이는 법이 아니라, 선으로 이끄는 법입니다. 만일 누군가를 죽이는 법이라 한다면, 그것은 반드시 하느님의 법과 정면으로 부딪히는 법임을 명심했으면 좋겠습니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