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piece of sunshine

One grain of millet 좁쌀 한 알

One grain of millet

“Go down and down as far as you can. You should not miss the fact that you have to go down even for a moment. Open the gates. Open the door wide, share, and mingle with the people on the floor, so that there is no error between individuals and groups.” ― Jang Il-soon

Have you ever experienced yourself going down and down with a spiritual sense of humility? Have you ever felt the beauty of “a grain of wheat” disappearing from the earth?

John 12:24 witnesses the mystery of death and resurrection of Jesus: “Unless a grain of wheat falls to the ground and dies, it remains just a grain of wheat; but if it dies, it produces much fruit.”

Among the lively spirits of Wonju who sincerely aspire to be “healthy and dynamic,” I can feel the heartfelt appreciation of late Catholic Bishop Ji Hak-soon and late life educator, philosopher and activist Jang Il-soon for being “grains of wheat.”

Believing that the universe exists even in one grain of millet, Wonju has a universal and broadminded spirit without much prejudice, conflict or territorial strife among its people. Anybody can adjust himself or herself to the surroundings of Wonju. Being surrounded by the mountain streams of Mount Chiak, Wonju cordially embraces people around with a motherly heart.

Like Ji Hak-soon (1921-1993), the first diocesan bishop of Wonju, Jang Il-soon (1928 -1994) enjoyed talking with ordinary people in the streets. Technically, it takes about 20 minutes to walk on foot from his home in Bongsan-dong to the Catholic Center in Wonil-ro, but it would take him two hours to arrive at the Catholic Center because he used to stop to have conversations with people along the way.

As an educator, philosopher and activist, Jang Il-soon became a legendary and symbolic figure who improved people’s lives in Wonju. He is best known as the cornerstone of the Credit Union and Hansalim movements ― the latter developing into one of the nation’s largest cooperatives connecting rural farmers directly with urban consumers.

Some of his pen names were “Cheonggang” (clean river) in the 1960s, “Muwidang” (effortless action) in the 1970s, and “Ilsokja” (one grain of millet) in the 1980s.

He developed a philosophy and campaign for life through the Hansalim movement until he died from stomach cancer. He was also a spiritual supporter of poet Kim Ji-ha who represented the democratization movement in the 1970s.

He learned calligraphy as well as to respect life from his grandfather, Jang Kyeong-ho, and his close friend, Park Ki-jung. After graduating from Wonju Elementary School, he was baptized with the Christian name of John at Wondong Catholic Church.

Then, he moved to Seoul to study at Pai Chai Middle and High Schools. He attended Gyeongseong Technical College but he was expelled for opposing the appointment of John R. Hodge to lead the United States Army Military Government in Korea.

The Donghak (Eastern Learning) Movement philosophies of Choi Je-woo (1824-1864) and Choi Shi-hyung (1827-1898) influenced him spiritually in many ways. In 1946, Jang Il-soon entered Seoul National University to study aesthetics but he had to return to Wonju due to the Korean War in 1950.

In 1954, Jang Il-soon established the Dae Sung School in Wonju with the thoughts of Ahn Chang-ho. From 1961 to 1963, he was imprisoned due to his thought and activism on neutrality, peace and unification. While joining a street demonstration for social justice and peace, he concentrated on calligraphy and closely collaborated with Ji Hak-soon.

“Make your life art.”
“Go down!”

-The Korea Times/ Thoughts of the Times/ April 21 (online), 22 (offline), 2022-

 

좁쌀 한 알

“할 수만 있다면 아래로 아래로 내려가야 해. 한 순간이라도 밑으로 내려가야 한다는 것을 놓쳐서는 안 돼. 문을 열어야 해. 문을 활짝 열고 함께 나누며 밑바닥 사람들과 어울려야 개인도 집단도 오류가 없어.” -장일순

영적 겸손으로 아래로 아래로 내려가는 것을 체험한 적이 있는가? 땅에서 사라지는 "밀알 하나"의 아름다움을 느껴본 적이 있는가?

요한복음 12장 24절은 예수님의 죽음과 부활의 신비를 증언하며 “밀알 하나가 땅에 떨어져 죽지 않으면 한 알 그대로 남고, 죽으면 많은 열매를 맺는다”고 말한다.

“건강하고 역동적”이기를 진심으로 갈망하는 원주의 활기찬 영혼 가운데 故 지학순 주교님과 생명 교육자요 철학자이자 운동가였던 장일순 선생님이 “밀알”로 존재하셨던 것에 대해 사람들이 참으로 감사드리고 있음을 느낀다.

좁쌀 한 알에도 우주가 존재한다고 믿는 원주는 사람들 사이에 많은 편견이나 갈등, 지역적 분쟁이 없는 보편적이고 폭넓은 정신을 지닌다. 누구나 원주의 주변 환경에 적응할 수 있다. 치악산 자락으로 둘러싸인 원주는 어머니 마음으로 사람들을 따뜻하게 품어준다.

원주의 초대 교구장이었던 지학순(1921~1993) 주교님처럼 장일순(1928~1994) 선생님은 길에서 평범한 사람들과 이야기 나누는 것을 좋아하셨다. 정확히 말해 봉산동 자택에서 원일로에 있는 가톨릭센터까지는 걸어서 20분 정도 걸렸는데, 장일순 선생님은 2시간 정도 걸려 가톨릭센터에 도착하셨다. 길을 걸으며 사람들과 대화를 나누기 위해 멈춰 서곤 하셨기 때문이다.

장일순 선생님은 교육자요 철학자이자 운동가로서 원주 사람들의 삶을 향상시킨 전설적이고도 상징적인 인물이다. 그는 신용협동조합과 한살림 운동의 초석으로 가장 널리 알려져 있다. 한살림 운동은 농민과 도시 소비자들을 직접 연결하는 국내 최대 규모의 협동조합 가운데 하나로 발전했다.

그의 호 가운데는 맑고 푸른 강이라는 뜻의 “청강”(1960년대), 존재하던 것이 없어진다는 뜻의 “무위당”(1970년대), 좁쌀 한 알이라는 뜻의 “일속자”(1980년대)가 있다.

그는 위암으로 선종할 때까지 한살림 운동을 통해 생명 철학과 생명 운동을 발전시켰다. 1970년대 민주화운동을 대표한 시인 김지하의 영적 후원자이기도 했다.

그는 할아버지인 장경호와 할아버지의 절친한 친구인 박기정에게 서예와 생명 존중 사상을 배웠고, 원주초등학교를 졸업한 다음 원동성당에서 요한이라는 이름으로 세례를 받았다.

그리고 서울로 이주해 배재중고등학교에서 공부했다. 그는 경성공업전문학교에 다녔지만 주한미군 군정을 이끌 존 리드 하지(John R. Hodge)의 임명에 반대하여 제적되었다.

최제우(1824-1864)와 최시형(1827-1898)의 동학운동 철학은 여러 면에서 그에게 영적 영향을 미쳤다. 1946년, 장일순은 서울대학교 미학과에 들어갔지만 1950년 한국전쟁으로 인해 원주로 돌아가야 했다.

1954년, 장일순은 안창호 사상을 품고 원주에 대성학원을 세웠다. 1961년부터 1963년까지 그는 중립, 평화, 통일 사상과 활동으로 투옥되었다. 사회정의와 평화를 위한 거리 시위에 가담한 그는 서예에 몰두했으며 지학순 주교님과 긴밀히 협력했다.

"그대의 삶을 예술로 만들어라."
"아래로 내려가라!"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