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억의 스케치북

 

[이종훈] 5월 23일 거룩한 고집

5월 23일 거룩한 고집

 

어느 학생이 식당에서 비빔밥을 시켰다. 비빔밥이 나온 뒤에 주머니를 뒤지니 500원이 모자람을 알아채고 주인 아주머니에게 그 사실을 고백했다. 그랬더니 그 아주머니는 아무 말 없이 비빔밥 위 달걀을 걷어 갔다. 소름 끼치는 장면이다.

 

 

문자가 왔다. 오늘 재료가 좋으니 와서 먹으랬다. 정말 식당주인의 말 그대로였다. 간사한 조미료 맛이 아니라 그 식재료들이 내는 고유의 맛이 젓가락을 놓지 못하게 만들었다. 그렇게 한참 먹은 뒤에야 식당주인이 내 앞자리에서 흐뭇한 표정으로 나를 바라보고 있었음을 알게 됐다. 참 따뜻하다.

 

 

10년 전 소임지에서 내 일의 대부분은 노동이었다. 가장 고마운 협력자는 고물 굴착기와 20년째 굴러다니는 고물 트럭이었다. 그 친구들은 나이를 많이 먹어 기운은 떨어져도 나를 실망시킨 적이 없었다. 길거리에 서 있는 그들을 처음 본 사람들은 버려진 것인 줄 알지만 시동을 걸면 우당탕탕 꺼억꺼억 소리를 내며 움직이는 모습을 보면 대부분 이 휘둥그레지곤 했다. 이들을 만든 이의 마음이 존경스럽다.

 

 

시간이 무섭게 빨리 간다. 날수를 계산해보면 마음이 조급해진다. 백세 시대라고 떠들지만 나는 내 몸을 안다. “사람의 삶은 이미 날수가 정해져 있다(집회 37,25).” 어머니 뱃속에 자리 잡을 때 이미 내 날수는 결정되었다. “저희의 날수를 셀 줄 알도록 가르치소서. 저희가 슬기로운 마음을 얻으리이다(시편 90,12).” 손익을 정말 잘 따져보자. 어떻게 하는 것이 남는 장사인가? 내가 만난 훌륭한 장사꾼들은 고집스러울 정도로 자신의 일을 사랑했던 사람들이었다. 예수님이 제일 그랬다. “여러분의 생명이 무엇입니까? 여러분은 잠깐 나타났다가 사라져 버리는 한 줄기 연기일 따름입니다. 도리어 여러분은 ‘주님께서 원하시면 우리가 살아서 이런저런 일을 할 것이다.’ 하고 말해야 합니다(야고 4,15).” 주님이 주신 시간 동안 내가 무엇을 해야 하는 지 너무 잘 안다. 그러니 좋은 일을 할 줄 알면서도 하지 않으면 죄다(야고 4,17).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