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억의 스케치북

 

[이종훈] 8월 5일(첫 토요일) 하느님의 복통

8월 5일(첫 토요일) 하느님의 복통

 

몇 년 전 이맘 때 복통으로 크게 고생한 적이 있습니다. 위를 쥐어짜는 것 같은 고통이었습니다. 인간은 병에 걸리면 더욱 이기적이 됩니다. 오직 자신만 생각하게 되고, 오직 이 고통에서 벗어나는 방법만을 찾습니다. 결국 119 구급차를 불러 응급실로 가서 주사를 맞고서야 그 끔찍한 고통에서 해방될 수 있었습니다.

 

우리 하느님의 자비는 이런 복통과 같습니다. 애간장이 터지고, 미어지고, 끊어지는 것 같은 고통, 그것이 당신의 백성들이 고통스러워하고 죄의 노예로 비참하게 살아가는 모습을 볼 때 당신이 느끼시는 고통입니다. 복통으로 괴로울 때는 오직 그 고통에서 해방되는 길만 찾듯이, 하느님은 인간이 느끼는 고통보다 더 큰 고통을 느끼셔서 그 고통에서 인간을 해방시켜주실 길만을 생각하십니다. 그런 인간을 도와주시지 않고서는 도저히 견딜 수 없는 분이 우리 하느님이십니다. 카나의 혼인잔치에서 성모님은 예수님에게 “포도주가 없구나(요한 2,3).”라고 말씀하셨습니다. ‘잔칫집에 포도주가 떨어졌으니 어쩌면 좋냐, 네가 어떻게 해 볼 수 없겠느냐?’, ‘어디서 포도주를 구해올 방법이 없을까?’라고 무엇인가 해달라고 요구한 것이 아니었습니다. 그런데도 예수님은 거기에 즉각적으로 반응하십니다. 심지어 당신의 때가 오지 않았는데도 그 잔칫집에 질 좋은 포도주를 선사해주셨습니다. 

 

저는 이 카나의 혼인잔치 이야기를 들을 때마다 거의 언제나 ‘포도주가 떨어진 잔칫집’에 마음이 머무릅니다. 포도주가 떨어진 잔칫집은 삶의 기쁨, 인생의 맛, 삶의 의미를 잃어버린 시간을 상징하는 것 같아 그런 것 같습니다. 저를 비롯해서 거리를 오가는 수많은 사람들에서 늘 대하는 모습입니다. 무표정하고 찌푸린 얼굴이 그들의 삶이 진지함을 표현하는 것 같지 않습니다. 기계처럼 오늘도 어제처럼 메마르게 그냥 그렇게 살아가는 것 같은 모습입니다. 내가 사는 지, 일상이 나를 끌고 가는지 모르는 그런 삶입니다. 취미생활, 오락, 친구들과의 만나 먹고 마시기, 여행을 통해서 회복하려하지만 그 때뿐입니다. 어디서 무엇을 잃어버린 걸까요? 

 

잃어버린 그것을 찾아보려고 애썼지만 찾지 못하고 그렇게 시간은 흘러 지쳐서 이제는 그것을 찾으려는 노력조차 포기한 것 같습니다. 체념한 것입니다. 이제는 인생이라는 잔칫집에 포도주가 떨어진 줄도 모르고 그냥 그렇게, 많은 사람이 몰려가는 그곳으로, 일상이 이끄는 대로 무책임하게 자기 자신을 놓아 버린 것 같습니다. 나는 무감하게 지내지만 이를 지켜보시는 하느님은 애간장이 녹아나십니다. 그렇게 살라고 우리를 빚어 만드신 게 아니기 때문입니다. 우스갯소리로 하느님은 장난감이 필요해서 인간을 창조하셨다고 합니다. 장난감의 본질은 주인을 즐겁게 하는 것입니다. 우리가 삶의 기쁨을 잃어버렸는데 하느님이 기뻐하실 수 없음을 넘어 고통스러워하십니다. 그래서 당장 달려가서 우리가 잃어버린 삶의 기쁨을 되찾아 주시기를 간절히 바라실 것이 분명합니다. 포도주가 떨어졌다는 성모님의 말에 즉각적으로 반응한 예수님의 마음이 그것을 보여줍니다. 

 

혼인잔칫집의 포도주는 예수님이 어디에선가 가져오신 것이 아니었습니다. 예수님의 지시에 따라 일꾼들이 가득 채워 둔 물이 질 좋은 포도주로 변한 것이었습니다. 그 일꾼들은 늘 그 일을 했을 것입니다. 그 날도 다른 날처럼 무심히 또 빈 독에 물을 채웠을 것입니다. 그런데 그 날도 다른 날처럼 물을 길었지만 예수님의 지시가 있어 달랐습니다. 같은 일을 했지만 그 결과는 전혀 달랐습니다. 메마른 일상이, 무한반복 재생되는 것 같은 삶이 새로운 의미를 찾게 된 데에는 예수님의 지시가 있었습니다. 그렇습니다, 우리가 잃어버린 것을 찾게 해주시는 분이 하느님이십니다. 하느님의 구원이라는 눈으로 나의 삶을 바라볼 때 나의 일상은 물론 죄마저도 그 의미를 찾습니다. 고통과 슬픔이 기쁨으로 바뀌고, 그렇게 되지 않는다 해도 그 고통을 달콤하게 받아들일 수 있는 혁명적인 변화를 일으키는 분이 예수님이십니다. 아니 그분의 복통이, 그분의 자비가 우리 인생의 잔치에 포도주를 가득 채워주십니다. 그 자리에 성모님이 계셨습니다. 아마 그 혼인잔칫집의 신랑도 포도주가 떨어지고 다시 채워지는 그 엄청난 사건을 몰라 과방장의 칭찬에 어리둥절했을 것 같습니다(요한 2,10). 우리는 어디서, 무엇을 잃어버렸는지도 모르지만 성모님은 그것을 먼저 보시고 하느님의 복통을 유발하십니다. ‘누군가 날 위해 기도하네.’라는 노래가사가 떠오릅니다. 성모님이 우리를 위해 그렇게 하시듯이 우리도 성모님처럼 나와 같은 어느 누구를 위해서 그를 대신해서 하느님의 복통을 유발해야 하겠습니다. 하느님 기뻐하시게.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