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o신부의 영원한 기쁨

[이종훈] 6월 2일(첫 토요일 성모신심) 강한 여인

이종훈

6월 2일(첫 토요일 성모신심) 강한 여인 

 

마리아와 엘리사벳, 두 임산부가 만나 기뻐했다. 두 여인이 나누는 기쁨의 근원은 하느님의 말씀, 하느님의 약속이다. 그런데 차이가 있다. 엘리사벳은 아이를 낳는 여인이라고 알려져 있고 나이도 많아 임신이 거의 불가능한 상태였는데도 아이를 갖고 싶은 바람은 여전했다. 남편 즈카리야도 그랬다. 가난한 이 노부부에게 하느님은 선물을 내려주셨다(루카 1,13). 즈카리야는 하느님의 말씀을 전하는 가브리엘 천사의 말을 믿지 않으면서도 아내와 잠자리에 들었고 천사의 말대로 엘리사벳은 아이를 갖게 되었다. 얼마나 놀라고 또 기뻤을까?

 

 

마리아가 요셉과 약혼한 사이였지만 아직 같이 살지 않던 때에 가브리엘 천사는 그녀에게 하느님의 계획을 알려주고 동의를 구했다. 그것은 인간의 이해를 뛰어넘을 뿐만 아니라 자신의 삶이 뒤죽박죽이 될 수 있고 자칫하면 죽을 수도 있는 제안이었다. 그녀는 천사의 말을 믿었다. 하느님의 힘을 믿었다. 그런데 그 대화는 천사와 마리아 사이, 아니 어쩌면 그녀의 내면에서 일어난 일어어서 자신도 모르게 일어나는 의심을 어쩔 수 없었을 것이다. 그런 마리아가 엘리사벳을 만나 천사가 전해준 그대로였음을 확인했고, 엘리사벳은 그것을 이렇게 확증해주었다. “내 주님의 어머니께서 저에게 오시다니 어찌 된 일입니까? 보십시오, 당신의 인사말 소리가 제 귀에 들리자 저의 태 안에서 아기가 즐거워 뛰놀았습니다. 행복하십니다, 주님께서 하신 말씀이 이루어지리라고 믿으신 분!(루카 1,43-45)” 이런 증언을 들은 마리아는 기뻐 큰 소리로 노래하지 않을 수 없었을 것이다.

 

 

엘리사벳은 선물을 받았지만 마리아는 그 선물을 주시는 분을 받았다. 마리아는 하느님의 말씀을 믿고 바로 그 말씀을 품게 되었다. 마리아의 믿음은 어둠 그 자체였다. 인간의 이해를 뛰어넘는 일, 앞으로 무슨 일이 벌어질지 조금도 예상할 수 없는 일, 세상, 가족 그리고 약혼자에게도 버려질 수 있는 일을 받아들였기 때문이다. 마리아는 결코 연약한 여인이 아니었다. 그녀는 하느님만 믿었어야 했다.

 

 

우리 그리스도인들은 하느님과 계약을 맺은 하느님의 백성이고 하느님의 자녀이다. 따르고 지켜야 할 계약이 있고, 자녀로서 부모의 말씀에 순종해야 할 도리가 있다. 그 멍에는 편하고 그 짐은 가볍다(마태 11,30). 그런데도 우리는 언제나 흔들린다. 이렇게 딱한 우리들에게 예수님은 성모님을 선물로 주셨다. 그분은 여러 이름으로 불리지만 영원한 도움의 성모라는 이름보다 그분을 잘 표현하는 이름은 세상에 없고, 그 이름보다 더 하느님을 닮은 이름도 없다. 하느님이 내려주신 이름일지도 모른다. 예수님과 한 몸처럼 안고 계신 그분은 예수님의 마음을 가리키며 나를 바라보시며 이렇게 말씀하신다. ‘말해봐라, 내가 도와줄게.’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