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piece of sunshine

Art of self-restraint 절제의 기술

Art of self-restraint

What is self-restraint? Self-restraint (the concept of “Sophrosune” in ancient Athens), which the ancient Greek philosophers mentioned over and over, is said to be the most basic virtue leading to learning all the other virtues. It is the core of an ethical life.

Being one of the four cardinal virtues (prudence, justice, courage and temperance), temperance (self-restraint) is “a virtue for one's own subjectivity. It is a necessary quality to reveal that the self is not a puppet but the protagonist of life in terms of one's actions and words,” says the Wonju Diocese Pastoral Letter of 2022.

Concepts such as “self-restraint, self-control, sacrifice, self-denial, emptiness and letting go” seemed to gradually lose their light, but their values are being highlighted again in the midst of a crisis in ecology.

“Ga glip: om begraensningens kunst i en graenselos tid” by Svend Brinkmann, the Danish psychologist and philosopher, was published in 2017 in Copenhagen.

The English translation came out with the title of “The Joy of Missing Out: The Art of Self-restraint in the Age of Excess” in 2019, and the Korean version came out under the title of “The Art of Self-restraint: Five Principles of Life to Overcome the Age of Temptation” in 2020.

Svend Brinkmann says that all countries must learn the “art of temperance and moderation” at a collective level to cope wisely with the crisis of ecology.

Self-restraint is necessary for a spiritually abundant life. “The Art of Self-restraint” asserts that “happiness depends on getting rid of unnecessary things in life” and suggests “five principles of life to overcome the age of temptation.” In order to live the virtue of thoughtful temperance and moderation, we must all be in solidarity with mature citizenship, insight and critical ability.

The five principles of life are as follows:

First, reduce options. It is the art of self-restraint suggested from a psychological point of view to realize the limits of life and to have self-control.

Second, hope for only one thing we really want. It is the art of self-restraint suggested from an existential point of view, telling us that we don’t have to experience more because we only need one thing.

Third, rejoice and be grateful. It is the art of self-restraint suggested from an ethical point of view, referring to the relationship with neighbors and to the ethical possibilities of human beings.

Fourth, live simply. It is the art of self-restraint suggested from a social and economic point of view. It is a decision for a sustainable life.

Fifth, be happy to fall behind. It is the art of self-restraint suggested from an aesthetic point of view. It is a form of life that makes everyday life enjoyable.

These five principles of a temperate life present how to free the self from vain desires, to become the master of our lives, and to regain true freedom and happiness.

Desire, pleasure and greed, which Socrates called “a pot with a hole in it,” gave rise to “being faster, having more, and doing things more efficiently.” The industrial revolution and capitalism have resulted in a serious crisis with limitless self-development and the culture of consumption.

As anthropologist Harry Wolcott (1929-2012) put it, we shall have to live “less, but more thoroughly.” If we exercise our willpower, self-control can be trained like a muscle. Why don’t we live a simple life, being satisfied with having less?

-The Korea Times/ Thoughts of the Times/ March 8 (online), 9 (offline), 2022-

 

 

절제의 기술

절제란 무엇인가? 고대 그리스 철학자들이 누누이 언급한 ‘절제’(고대 아테네인들이 말한 ‘소프로시네’ 개념)는 다른 모든 덕을 익히도록 이끄는 가장 기본적인 덕이며 윤리적 삶의 핵심이다.

절제는 사추덕(예지prudence, 정의justice, 용기courage, 절제temperance) 가운데 하나로, “자신의 주체성을 위한 덕목이요, 자신의 행동과 말에 있어 자신이 꼭두각시가 아니라 주인공임”을 드러내기 위해 필요한 자질이라고 2022년 원주교구 사목 교서는 말한다.

“절제, 자제, 희생, 극기, 비움, 침묵, 내려놓음”과 같은 개념이 점점 그 빛을 잃어가는 것만 같았는데, 생태계의 위기 한복판에서 그 가치가 다시 부각되고 있다.

덴마크 심리학자요 철학자인 스벤 브링크만이 쓴 “Ga glip: om begraensningens kunst i en graenselos tid”(내려놓는 삶: 무한한 시간 속 한계의 기술에 대하여)라는 책이 코펜하겐에서 2017년에 나왔다.  

이 책의 영어 번역본이 “The Joy of Missing Out: The Art of Self-restraint in the Age of Excess”(내려놓는 삶의 즐거움: 과잉 시대의 자기 절제의 기술)이라는 제목으로 2019년에 나왔고, 우리말 번역본은 “절제의 기술: 유혹의 시대를 이기는 5가지 삶의 원칙”이라는 제목으로 2020년에 나왔다.

생태계의 위기에 지혜롭게 대처하려면 집단적 차원에서 모든 나라가 “절제와 중용의 기술”을 익혀야만 한다고 스벤 브링크만은 말한다.

영적으로 충만한 삶을 살아가려면 절제가 필요하다. 「절제의 기술」은, “행복은 인생에서 불필요한 것들을 덜어내는 데 달려 있다”고 주장하며 “유혹의 시대를 극복하는 다섯 가지 삶의 원칙”을 제시한다. 사려 깊은 절제와 중용의 덕을 살아내려면 우리 모두 함께 연대하며 성숙한 시민의식과 통찰력과 비판 능력을 지녀야 한다.

다섯 가지 삶의 원칙이란 다음과 같다.

첫째, 선택지 줄이기. 이는 심리적 관점에서 제안하는 절제의 기술로, 삶의 한계를 깨닫고 자제력을 지니는 것이다.

둘째, 진짜 원하는 것 하나만 바라기. 이는 실존적 관점에서 제안하는 절제의 기술로, 우리는 오로지 단 한 가지만 필요로 하기에 더 많이 경험하지 않아도 된다고 말한다.

셋째, 기뻐하고 감사하기. 이는 윤리적 관점에서 제안하는 절제의 기술로, 이웃과 맺는 관계를 말하며 인간의 윤리적 가능성에 대해 말한다.

넷째, 단순하게 살기. 이는 사회적, 경제적 관점에서 제안하는 절제의 기술로, 지속 가능한 삶을 위한 결정이다.

다섯째, 기쁜 마음으로 뒤처지기. 이는 미학적 관점에서 제안하는 절제의 기술로, 일상이 즐거워지는 삶의 형식이다.

절제하는 삶의 다섯 가지 원칙은 자아가 헛된 욕망에서 자유로워지고 자기 삶의 주인이 되며 진정한 자유와 행복을 되찾는 법을 제시한다.

소크라테스가 “구멍 난 항아리”와 같다고 말한 욕망과 쾌락과 탐욕은 “더 빨리, 더 많이, 더 효율적으로”이라는 태도를 자아냈고, 산업혁명과 자본주의는 한계를 모르는 자기 계발과 소비 문화로 심각한 위기를 초래했다.

인류학자 해리 월콧(1929-2012)이 말하듯 우리는 “더 적게, 대신 더 철저하게” 살아야 할 것이다. 의지력을 발휘한다면 절제는 근육을 강화하듯 훈련될 수 있다. 덜 가져도 만족하며 단순하게 살아가면 어떨까?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