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piece of sunshine

‘Jigwanseoga’ 지관서가 止觀書架

‘Jigwanseoga’  지관서가 止觀書架



5379ccc070d53093bc5d018c75ea71ce_1739584640_89.jpg


Sometimes, somebody does what I wish to do and what I can’t do by myself. It is always encouraging to see that somebody with goodwill does something for the public good. 

 

One day, as I passed by the Traditional Cultural Contents Museum located in Ungbu Park in Andong, North Gyeongsang Province, a newly built house drew my attention. Under the traditionally tiled roof, a sign engraved with the words “Ji-gwan-seo-ga” in the Chinese language was displayed. “Ji-gwan” means to “pause and see or look wide” and “seo-ga” means "stacks or bookshelves." The term implies stopping for a moment, standing up straight, looking broadly inside and out, and reading a book. 

 

Out of curiosity, I entered the long and big house and saw a book cafe on the right side near the entrance. The whole two-story space was equipped with long wooden bookshelves, filled with various books. Chairs and tables were awaiting people in open rooms with floor heating. Various books on the health of the body and the mind were displayed on the shelves surrounding the walls. The books were not for sale but for reading on the spot only. 

 

A cafe keeper said that the Humanities Expansion Center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and Humanities 360 provide book curation and content production. The open library space creation project was planned by Platon Academy, with SK Group providing financial support. For this library project, the local government provides idle space in its district. With good intentions, idle space turned out to be a good space that stimulates thinking, contemplation, dialogue and culture, while having a cup of tea or coffee. 

 

At present, there are eight of these complex cultural spaces providing some moments of pause and rest across the country: six of them are located in the Ulsan area, one at Goethe Village in Yeoju and one at Ungbu Park. Each Jigwanseoga has a unique theme, and the theme of Andong is how to take care of the body and the mind. 

 

Jigwanseoga invites us to stop for a moment despite our busy schedules filled with digital content, artificial intelligence programs and automation processes. It inspires us to open our eyes with wisdom and look around the world. It promotes harmony and balance of the body and the mind. Those who have prepared for Jigwanseoga believe that the sound mind makes the sound body. 

 

Long ago, we talked about intelligence, virtue and physical, but nowadays we think of it in a reverse way: physical, virtue and intelligence. Physical matters come first to be concerned about. 

 

We are used to living in a hurry without being attentive to the basic needs of our body and mind. As a result, various unexpected diseases are attacking the human body nowadays, and many people are looking for healing and rest. 

 

To provide people with healing spaces and pleasant environments, Andong City has a vision of becoming a sustainable garden city, expanding green spaces, parks and maintaining facilities. The planning project of remodeling Andong as a sustainable garden city was chosen for the Green Infrastructure Expansion Competition Project early this year and won a large sum of funds. So, new development is going on here and there to attract more tourists. 

 

May more people visit Andong during the Andong International Mask Dance Festival to be held between September and October every year. Let us hope for a better environment with zero carbon! 

 

The Korea Times/ Thoughts of the Times/ Feb. 12 (online), 13 (offline), 2025 

 

 

 

지관서가 Jigwanseoga 

 

 

때때로 내가 하고 싶지만 나 혼자 힘으로는 도저히 할 수 없는 일을 누군가가 한다. 누군가 선의를 지닌 사람이 공동선을 위해 무언가를 하는 것을 보는 것은 언제나 고무적이다. 

 

어느 날, 경북 안동 웅부공원에 있는 전통문화콘텐츠박물관을 지나가다 그 옆에 새로 지은 집이 눈에 띄었다. 전통기와 지붕 아래 '지관서가止觀書架'라는 글이 한자로 새겨진 간판이 걸려 있었다. '지관'은 '잠시 멈추어 널리 바라본다'는 뜻이고 '서가'는 '책장 또는 책꽂이'라는 뜻이다. 잠시 멈추어 바로 서서 안팎을 너르게 바라보며 책을 읽는다는 뜻이다. 

 

어떤 건물인지 궁금하여 길게 늘어선 커다란 집에 들어서니 입구 오른쪽에 북카페가 있었다. 2층짜리 공간 전체에 나무로 만든 기다란 서가가 놓여 있었고, 각 서가마다 다양한 책이 전시되어 있었다. 열린 온돌방에 놓인 의자와 탁자는 사람들을 기다리고 있었다. 벽을 둘러싼 서가에는 몸과 마음의 건강에 대한 다양한 책이 진열되어 있었는데, 이는 판매용이 아니라 그 자리에서만 읽을 수 있는 열람용이다. 

 

서울대 인문학 확장 센터와 인문360(인문정신문화 온라인 플랫폼)에서 이곳에 진열할 도서를 선정하고 콘텐츠를 제공한다고 카페지기는 말했다. 개방형 도서공간 조성 프로젝트는 플라톤 아카데미(비영리 재단법인)가 기획했고 SK그룹에서 재정 지원을 한다. 이와 같은 도서공간 프로젝트를 위해 지방자치는 해당 지역에 놀고 있는 유휴공간을 제공한다. 선한 지향을 지닌 사람들 덕분에 유휴공간은 차나 커피를 마시며 사유하고 관조하고 대화를 나누며 문화를 조성하는 좋은 공간으로 탈바꿈한다. 

 

현재 전국에 걸쳐 잠시 멈추어 쉬었다 가는 지관서가 복합 문화 공간은 8개가 있다. 그 가운데 6개는 울산 지역에, 1개는 여주 괴테마을에, 그리고 또 1개는 웅부공원에 있다. 각 지관서가는 고유한 테마(주제)를 지니는데 안동 지관서가의 테마는 몸과 마음을 돌보는 것이다. 

 

지관서가는 디지털 콘텐츠와 인공지능(AI) 프로그램으로 가득하고 점점 자동화되는 과정으로 분주한 일정 가운데 잠시 멈추어 서도록 초대한다. 지혜의 눈을 뜨고 세상을 바라보도록 영감을 주며 몸과 마음의 조화와 균형을 도모한다. 지관서가를 준비한 사람들은 건강한 마음이 건강한 몸을 만든다고 믿는다. 

 

전에는 ‘지덕체’에 대해 이야기했는데 요즘은 거꾸로 생각한다. 다시 말해, ‘체덕지’라 한다. 몸에 대한 이야기를 우선적으로 강조하는 것이다. 

 

우리는 몸과 마음의 기본 욕구에 주의를 기울이지 않고 서둘러 사는 것에 익숙하다. 그 결과 오늘날 예상치 못한 여러 질병이 우리 몸을 공격하고 있어 많은 사람이 치유와 휴식을 찾아 나선다. 

 

안동시는 사람들에게 치유 공간과 쾌적한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지속가능한 정원 도시를 이루고 녹지와 공원을 확장하며 시설을 유지하려는 비전을 가지고 있다. 안동을 지속가능한 정원 도시로 새롭게 단장하고자 하는 기획안이 올해 초 녹색인프라 확충사업 공모에 선정되어 많은 자금을 지원받았다. 그래서 안동은 더 많은 관광객을 유치하기 위해 여기저기서 새로운 개발을 진행하고 있다. 

 

해마다 9월과 10월 사이에 열리는 안동 국제 탈춤 페스티벌 동안 더 많은 사람이 안동을 방문하기를 바란다. 탄소 배출이 없는 더 나은 환경을 희망하자!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