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수서원 Sosu Seowon
소수서원(한국 성리학 교육 기관)은 경싱북도 영주시 소백산맥 자락에 자리 잡은 가장 한적하고 고요한 장소 가운데 하나로
다시 한 번 찾아가고 싶은 곳이다. 우리 조상들은 참으로 영특하고 지혜로워 시를 읊고 경전을 마음에 새기며 자신을
수양하기 위해 평온하고 조용한 장소를 찾았다.
조상들이 지닌 근원적 사고는 무엇보다 자기 수양이 필요하다는 것에 대한 인식이었다. 이러한 목적을 이루기 위해 그들이
지녔던 기본 좌우명은 “수신제가치국평천하修身齊家 治國平天下”, 다시 말해 먼저 자신을 수양한 다음 가정과 나라를
다스리고 천하를 다스리라는 것이었다.
우리 조상들에게 자기 수양, 집안 다스림, 나라 통치, 그리고 세계 평화는 삶의 균형을 유지하는 네 가지 단계였다.
덕스러운 삶의 네 가지 단계 가운데 자기 수양 또는 도덕적 양성은 건물의 주춧돌과 같다.
조선 시대(1392-1910)에는 전국에 648여 개의 서원이 있었는데, 그 가운데 173개가 경상남도 지역에 있었고,
또 그 가운데 40개는 안동에 있었다. 이것이 바로 안동이 '유교 정신의 도시' 또는 ‘한국 정신 문화의 수도’라고
불리는 까닭이다.
서원은 성리학 정신을 깊이는 전문 학교였다. 안동에 있는 여러 서원은 안동시의 탁월한 선비 정신과 유교 문화에 헌신하는
평생 학습 도시로 자리 매김하려는 열망을 드러낸다.
여러 유교 학자들 가운데 퇴계 이황(1502-1571)은 성리학을 가장 잘 드러낸다. 인간관계와 자기 수양을 가장 중요하게 여긴 이황의 철학에 따르면, 자기 수양은 집안을 다스리거나 사회를 다스리는 것과 같은 행동을 하기 전에 가장 먼저 해야 할
근본적인 일이었다.
선비들은 기본적인 자기 수양 방법으로 유교의 4대 경전인 “대학大學”, “중용中庸”, “논어論語”, “맹자孟子”를 큰소리로
낭송했으며 원리(理)와 물질(氣)을 존재의 근본 원칙으로 여겼다.
영주시에 자리한 소수서원은 1542년 풍기 군수 주세붕이 ‘백운동서원’이라는 이름으로 세운 최초의 유교 서원이었으며,
1550년에 이르러 그 이름이 소수서원으로 바뀌었다. 그는 고려 후기에 성리학을 전한 안향을 기리기 위해 사당을 세웠다.
조선 시대의 불교 박해로 많은 사찰이 문을 닫자 사찰의 건물 용도 또한 바뀌었다. 소수서원 또한 원래는 불교 사찰이었는데, 유교를 가르치는 서원으로 탈바꿈되었다.
소수서원을 세울 무렵 나라는 물질적인 것들을 더 절실히 필요로 했지만, 성리학에 대한 도덕 교육의 필요성을 인식한
사람들은 서원을 세우는 것이 더 중요하고 필요하다고 힘주어 말했다.
선비들이 서원에서 경전을 소리 내어 읽고 일상생활에서 덕행을 실천하는 것처럼 가톨릭 신자들도 성경을 소리 내어 읽고
끊임없이 기도하며, 피정을 하고 자기 성찰을 하며 이웃을 위해 자선을 베푼다.
이처럼 자기 수양을 위해 기울이는 모든 노력은 좋은 결실을 가져온다. 갈라디아 5장 22-23절이 강조하는 성령의 아홉 가지
열매, 곧 사랑, 기쁨, 평화, 인내, 친절, 선행, 진실, 온유, 절제는 자기 수양을 돕는 주요 덕목들이다.
성경에 나오는 여러 구절 또한 하느님의 현존 앞에서 살아가는 영적 삶의 핵심 덕목으로 "겸손"을 언급한다.
“…마음에서 우러나오는 동정과 호의와 겸손과 온유와 인내를 입으십시오. …서로 참아 주고 서로 용서해 주십시오…
이 모든 것 위에 사랑을 입으십시오… 그리스도의 평화가 여러분의 마음을 다스리게 하십시오… 감사하는 사람이 되십시오… 그리스도의 말씀이 여러분 가운데에 풍성히 머무르게 하십시오.“(콜로새 3,12-16)
Sosu Seowon 소수서원
Sosu Seowon (a Korean neo-Confucian academy) is one of the most serene locations in the Sobaek mountain range in Yeongju, North Gyeongsang Province. It is a place that I would like to revisit. Our ancestors were clever and wise in finding such a comfortable and quiet place to train the self while reciting poems and pondering the classics.
Their underlying thoughts were on the fundamental necessity of self-training. Therefore, their basic motto for this purpose was as follows: “Morally train (cultivate) yourself, manage your household (family), govern your country (state) and then pacify the world.”
For them, personal cultivation, family management, state governance and world peace were the four steps to keep balance in life. Among the four steps for a virtuous life, personal training or moral cultivation is something like a cornerstone.
There were about 648 seowons throughout the country during the Joseon period (1392-1910). Of these, 173 were located in the southeastern Gyeongsang region and 40 of them were in Andong. That is why Andong is called the “city of moral spirit” or the cultural capital of Korea.
A seowon was a dedicated institution for studying the spirit of neo-Confucianism. The impressive number of academies in Andong reveals the town's predominant scholarly spirit and desire to establish itself as a city of lifelong learning dedicated to Confucian culture.
Of all the various scholars, Toegye Yi Hwang (1502-1571) best represents neo-Confucianism. He always focused on human relationships and self-training above anything else. According to his philosophy, training the self was the fundamental thing to do before taking other actions, such as running a personal household or governing society.
As a basic way of training the self, scholars read aloud the four great books of Confucianism: “Great Learning,” “Doctrine of the Mean,” “Analects” and “Mencius.” They regarded principle (reason) and material force (vital energy or matter) as the fundamental principles of existence.
Sosu Seowon in Yeongju was the first Confucian academy established by Chu Se-bung, the governor of Punggi County, under the name Baekundong Seowon in 1542. It was renamed to Sosu Seowon in 1550. He built a shrine to honor An Hyang, who introduced neo-Confucianism during the late Goryeo Dynasty.
Due to the persecution of Buddhism in the Joseon period, many Buddhist temples were closed and the buildings repurposed. Sosu Seowon was also originally a Buddhist temple, but it was re-established as an academy to help promote Confucianism.
At that time, the country was in dire need of material things, but those who were aware of the need for moral education on neo-Confucianism emphasized the necessity of building Confucian academies.
As scholars read the classics aloud at the seowon and put their virtues into practice in their daily lives, so too do Catholics read the Bible aloud, pray constantly, do spiritual exercises, practice self-examination and do charity for others.
All these efforts to train the self bring about good results. Emphasized in Galatians 5:22-23, the nine fruits of the Holy Spirit, including love, joy, peace, patience, kindness, goodness, faithfulness, gentleness and self-control, are regarded as crucial virtues that help train the self.
Many phrases in the Bible also mention “humility” as a core virtue of spiritual life in the presence of God.
“Put on … heartfelt compassion, kindness, humility, gentleness and patience, bearing with one another and forgiving one another. … Over all these, put on love … And let the peace of Christ control your hearts. … And be thankful. Let the word of Christ dwell in you richly.” (Colossians 3:12-16)
A piece of sunshine, Alberione, alberione, Catholic, catholic, content, contents, Contents, contents.pauline.or.kr, gospel, Gospel, FSP, fsp, pauline, Pauline, pauline contents, 카톨릭, 가톨릭, 교리, 교리교재, 꿈나무, 바오로가족, 바오로딸, 바오로딸 컨텐츠, 바오로딸 콘텐츠, 바오로딸컨텐츠, 바오로딸콘텐츠, 복자 야고보 알베리오네 신부, 성바오로딸, 성바오로딸수도회, 성 바오로딸 수도회, 성바오로딸 수도회, 주일학교, 콘텐츠 바오로딸, 콘텐츠바오로딸, 알베리오네, 야고보 알베리오네, 김애란, 김애란 마리데레사 수녀, 김애란 수녀, 김애란수녀, 영시, 영어시, 수필, 영어수필